이번 포스팅은 요즘 최대 관심사인 지진에 관한 내용입니다. 경주에서 우리나라 관측사상 가장 규모가 큰 5.8의 지진이 일어나서 국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는데, 그 이후로도 여진이 300회 이상 찾아와서 불안감이. 자연 과학(自然 科學) 스크랩 전주에서도 지진 느껴 지진강도표> 하늘 추천 0 조회 979 07.07.03 18:23 댓글 1 북마크 번역하기 공유하기 기능 더보 진도 등급별 설명; 등급 진도 등급별 현상 최대가속도 (%g=9.81cm/sec 2) 최대속도 (V=cm/sec) 대부분 사람들은 느낄 수 없으나, 지진계에는 기록된다
20일 오후 강원 평창군에서 발생한 규모 4.8 지진의 위력은 대략 TNT 폭약으로 1만6000t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는 소형 핵폭탄 1개에 해 포항지진의 원인을 조사해온 정부조사단은 2019년 3월 20일, 이 지진이 인근 포항 지열발전소의 실증연구에 따른 ‘촉발지진’이라고 공식발표했다.[11] 이 조사에는 대한지질학회와 해외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해외조사위원으로 참여한 쉐민 게 콜로라도대 교수는 “포항지열발전소에서 다섯 번의 자극이 주어진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2017년 포항 지진은 2017년 11월 15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진앙은 포항시 북구 북쪽 9km 지점인 흥해읍 남송리이며, 진원지는 지표에서 7km 떨어진 지점이다. 오후 2시 29분 31초에 발생한 본진의 지진 규모는 M w 5.4로, 2016년 경주 지진에 이어 1978년 본격적인 지진 관측 이래 두. 지진이란? 지구내부의 여러가지 언인으로 인해 일어나는 땅의 흔들림을 말합니다. 땅이 센 압력을 받아 솟아오르거나 가라앉을때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지진은 왜 일어나는가?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은 지각에 있는. 포항 일대의 고사장이 파손되는 등, 지진으로 인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정상적인 진행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원래 일정이었던 2017년 11월 16일에서 일주일 뒤인 2017년 11월 23일로 연기되었다.[27] 교육부는 11월 16일 오후 2시 수능 성적 발표와 대학별고사를 모두 일주일 순연시킨다고 밝혔다.
국내지진 목록 > 지진 > 지진·화산 > 날씨 > 기상
북위 36° 05′ 동경 129° 20′ / 북위 36.08° 동경 129.33° / 36.08; 129.33
지진 강도 단위는 규모와 진도가 있습니다. 이번에 발생했던 근대 지진 측정 역사상 가장 셌던 경주 지진의 강도는 규모 5.8입니다. 이 강도는 건물에 약간의 피해가 갈 정도의 세기인데, 우리나라 같은 경우 6이.
11월 15일 오후 2시 22분 32초에 포항시 북구 북쪽 7km 지역에서 규모 2.2의 지진이 발생하였다.[14] 이어 22분 44초에 포항시 북구 북서쪽 7km 지역에서 규모 2.6의 지진이 발생하였다.[1] 이 두 지진은 전진으로서, 규모 5.4의 본진은 그 뒤를 이어 29분 31초에 발생하였다.[2][8]
일반적으로 지진은 넓은 지역에서 거의 동시에 느껴진다. 이때 각 지역의 흔들림의 정도, 즉 진도를 조사해 보면 변위가 생긴 땅속 바로 위의 지표, 즉 진앙에서 흔들림이 가장 세고 그곳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약하게 되어 어느 한계점을 지나면 느끼지 못하게 된다. . 이것으로부터 흔들림이 가장 큰.
읗흣읗흣 :: 지진 강도 단위, 규모와 진도 차
본진의 진동은 일본에서도 느껴져, 쓰시마 섬에서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2를, 규슈 북부의 후쿠오카현, 나가사키현, 사가현, 주고쿠 지방의 야마구치현, 시마네현에서 진도 1의 유감지진을 감지했다.[20]
2017년 포항 지진은 2017년 11월 15일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발생한 지진이다.[2][8]진앙은 포항시 북구 북쪽 9km 지점인 흥해읍 남송리이며, 진원지는 지표에서 7km 떨어진 지점이다. 오후 2시 29분 31초에 발생한 본진의 지진 규모는 Mw 5.4로, 2016년 경주 지진에 이어 1978년 본격적인 지진 관측 이래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지진이다.[A][10]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최대 진도는 Ⅵ로 2016년 경주 지진에 이어 관측 사상 2번째로 최대 진도 Ⅵ을 기록한 지진이다. 또한, 역대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한 지진이다.[5][6][7]
북위 36° 06′ 32″ 동경 129° 21′ 58″ / 북위 36.109° 동경 129.366° / 36.109; 129.366
지진이란? 지진이란 지구적인 힘에 의하여 땅속의 거대한 암반이 갑자기 갈라지면서 그 충격으로 땅이 흔들리는 현상 을 말한다. 즉
한동대학교에서 지진으로 건물 외벽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하였다.[21] 경상북도교육청은 11월 16일 낮12시까지 99개교에서 피해가 접수되었다고 하였다.[22]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지진 발생 후, 전국의 원전과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23]
2017년 포항 지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
지난 2016년 경주 지진 이후 긴급재난문자 발송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에, 이번 포항 지진에서는 문자 발송이 매우 신속하였다.[26]
본진 이후에도 여진은 계속해서 진행되어, 12월 25일 오후 4시 19분 22초에는 경북 포항시 북구 북쪽 8km 지점에서 규모 3.5의 여진이 발생하였다. 이 여진까지 총 70회의 여진이 발생하였으며, 규모 3.0 이상의 지진은 총 여섯 번 발생하였다.[16]
국내 지진목록 검색결과; 번호 발생시각 규모 깊이(km) 최대 진도 위도 경도 위치 지도보기 상세정보 (진도 등); 29: 2020/05/27 19:23:2
지진강도표 상식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요. 태안에서 일어난 지진은 5.1이니 강진이네요. 벽에 금이가고 비석이 넘어짐 꽃병이 넘어지고 그릇의 물이 넘침.. 아주 놀라셨을 것 같아요